<이 글은 2007.4.28 한국댄스스포츠연구학회 세미나에서 발표한 내용입니다.- 지석 유우봉>
1. Line of Dance (LOD)
LOD (Line of Dance) 는 댄스플로어에서 시계반대방향으로 흘러가는 댄스의 흐름을 말합니다. 벽을 따라서 평행인 댄스흐름의 선을 말합니다. 단, 이것은 쉬지않고 플로어를 이동해가는 댄스, 즉 왈츠, 슬로우폭스, 탱고, 비에니즈 왈츠, 퀵스텝이나, 삼바같은 댄스에 적용되는 것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모든 움직임이 LOD 를 따라서만 흘러야 한다는 얘기는 아닙니다. 경우에 따라서 그것을 가로지를 수도 있고, LOD 를 넘나들 수 있으며, 때로는 잠깐동안 그것의 역방향으로도 움직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보아서 댄스 전체의 흐름은 LOD 를 따라서 진행해 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2. 댄스의 방향과 얼라인먼트 (Points of Dance & Alignments)
(in clockwise order in increments of 1/8 turns)
|
|
2-1. 벽 (THE WALL)
어느 방이든지 대개 4면의 벽이 있지만, 여기에서 말하는 벽(the wall) 이란 댄서가 LOD 를 따라서 댄스를 하고자 정려하여 있을때에 가까운 쪽의 벽을 말합니다. LOD 를 바라보고 있을 시에, 벽 (the wall) 은 댄서의 오른 쪽에 있습니다.
2-2. 센터 (THE CENTER)
방에는 2개의 센터가 있습니다. (1) 방의 중심을 말하는 "트루 센터 (True Center)" 와 (2) 현재의 벽의 정반대편에 있는 "상대적 센터 (Relative Center)" 입니다. 당신이 방의 어느 곳에 서 있건 간에, LOD 방향을 바라보고 있을 시에, 상대적센터 (Relative Center) 는 당신의 왼쪽에 있습니다. 댄스에서 말하는 센터는 항상 "상대적센터"를 의미합니다. 보통은 그냥 줄여서 "센터"라고 말합니다.
3. 얼라인먼트 (Alignment)
얼라인먼트(Alignment)라는 것은 발이 가리커는 상대적인 방향을 의미합니다. 방에서의 3 가지 기본 방향은 벽 (the wall), 센터 (the center) 와 댄스흐름선 (LOD; Line of Dance) 입니다.
얼라인먼트는 방향 또는 각도로 표현합니다. (1) 발의 방향 또는 각도, (2) 몸 (body)이 가리키는 방향이 발의 방향과 다를 경우, 이때의 몸의 방향, (3) 진행방향이 발의 방향과 다를 경우, 이때의 진행방향으로 얼라인먼트(방향)를 표현합니다.
얼라인먼트를 표현하는 말에 있어서, 그 앞에 "Facing" 이라는 단어가 올 경우, 이것은 발과 몸이 동일한 방향으로 turn 완료된후에, 몽의 진행방향이 똑바로 전진(straight forward) 또는 대각선방향 전진 (diagonally forward) 하는 것을 말하게 됩니다. 진행방향이 없는 스텝의 경우에도 "Facing" 이라는 단어를 사용합니다.
얼라인먼트를 표현하는 말에 있어서, 그 앞에 "Backing" 이라는 단어가 올 경우, 이것은 발과 몸이 동일한 방향으로 turn 완료된후에, 몽의 진행방향이 똑바로 후진(straight backward) 또는 대각선방향 후진 (diagonally backward) 하는 것을 말하게 됩니다.
얼라인먼트를 표현하는 말에 있어서, 그 앞에 "Pointing" 이라는 단어가 올 경우, 이것은 발이 몸과 다른 방향을 포인팅하는 것을 말하며, 보통 몸의 각도를 덧붙여서 표현합니다. 몸의 각도를 표현하지 않는 경우는 전동작 스텝과 동일한 방향인것으로 간주합니다.
얼라인먼트를 표현하는 말에 있어서, 그 앞에 "Moving Toward" 또는 "Travelling Along" 이라는 단어가 올 경우, 이것은 발이 나아가는 방향과 몸이 움직이는 방향이 다른 것을 말합니다.
source: dancesport.lv
스탠더드 댄스 도형의 유형적 분석
<요 약 >
이번 연구의 목적은 스탠더드 댄스의 도형을 유형적으로 분석하여 효율적인 학습 방법을 모색하는 데 있다. 댄스스포츠의 기술용어는 영어이고, 도형의 명칭은 영어로 표시한다.
스탠더드 댄스의 원천 기법은 복잡한 개별 기법을 통해 발전해 왔다. 그리고 경기용 댄서를 위한 전체 도형은 규정 도형 122개와 제프리 헌(Geoffrey Hearn)이 소개한 상급 도형 97개를 합하면 219개이다. 그런데, 프로페셔널 시험용인 규정 도형은 학습의 난이도에 따라 분류되지 않고, 도형의 발생 순서에 따라 이름을 붙여 분류되었다. 반면에 상급 도형은 동작이 친근한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이 친근성은 바로 유형적 분석법을 발전시키는 요인이다.
그래서 219개 도형을 41개 친화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댄서는 대부분의 도형 명칭에서 이 친근성을 감지할 수 있고, 또한 그 수식어를 통해 예를 들면 사세(Chasse)에서처럼 전후좌우로의 회전 방향을 인식할 수 있다.
물론, 유형적 학습법은 근래 번창하고 있는 토익 학습법처럼 자기 연습시간의 강화가 필요하다. 즉, 개인 레슨 1 시간을 받으면 개별적으로 이론 학습 1 시간, 동영상 학습 1 시간과 커플 연습 1시간이 필요하다. 전문가가 되려면 수년간의 연구와 훈련이 필요하다. 그러나 1급 코치로부터 200 시간의 레슨과 자기 훈련 600 시간이 따르면 댄서는 일단 성공 가도에 진입할 수 있다.
1. 서 론
가. 경기 댄스의 발전 추세
스탠더드 댄스는 자연적 움직임에 바탕을 둔 유연한 움직임과 역동적인 움직임을 특성으로 한다. 학습자는 이 유연성과 역동성을 조화롭게 결합하는 능력을 갖추고, 신체 역학이 허용하는 한 최대로 멋진 선과 율동 미를 연출한다.
(1) 근래의 동향
1970년대 이후 발레의 애티튜드와 아라베스크 라인까지 도입, 포스처와 홀드를 확장했다. 스윙 댄스는 스텝 스윙, 비행 동작, 머리 무게를 활용하고, 탱고는 몸과 다리 동작을 정교하게 다듬어 과감한 쉬럭, 머리의 스냅 동작을 강화했다. 근래에는 아르헨티나 탱고까지 안무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2) 안무의 발전
안무 학은 움직임의 본질적 구조를 신체, 동작, 공간, 역동성 및 연관성으로 규정한다.
음악을 수반하는 스탠더드 댄스는 본래 예술 형식이지만 복잡한 기법을 통해 발전해 왔다. 댄스는 인간 습관의 한 형식으로 기법은 결국 개별 기법으로 귀착된다.
빌 아빈(Bill Irvine)은 1997년「댄스 특성의 변화」라는 글을 통해 “교사들은 안무의 원리에 접근하는 방법에서 아주 현명해야 한다”고 안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3) 음악성의 발전
안무는 음악에 맞추어 발전했다. 1 소절에 분할 박자를 자주 사용하여 움직임의 스피드를 높이고,「질의와 답변」을 통한 8 소절 단위의 구절 법(Phrasing)을 발전시켰다.
이 구절법의 원리는 동작과 음악과의 조화, 악센트의 전개, 호흡의 조절과 관련하여 1개의 동기를 강한 소절과 약한 소절로 나누어 표시한다. 또한 4/4 박자의 폭스트롯과 퀵스텝, 2/4 박자의 탱고에서도 스텝과 소절을 왈츠처럼 교육용 카운트인 숫자를 사용하기도 한다.
(4) 동영상 매체의 발달
댄스 학습 방법은 동영상 매체의 발달로 뚜렷이 개선, 발전되었다. 신인 선수들까지 동영상 덕분에 경기 대회에서 인기도형을 사용한다. 교사 자격 시험용의 규정 도형만으로 경기 대회를 준비하지 않는다. 오히려 더 다양하고 복잡한 도형과 루틴을 원한다. 이들은 도형의 적합성 여부보다는 무엇인가 색다른 것을 찾으려는 욕망 때문에 스스로 고통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나. 기법의 조건
(1) 기법의 제일 요구조건
렌 스크리브너(Len Scrivener)에 의하면 상급 댄서는 오직 예증, 추리, 연역, 아이디어를 통해 발전하지만, 기법의 제일 요구조건은 논리적이어야 한다.
“댄스는 정확한 과학이 아니므로 무엇이 정확하고 부정확한가를 말할 수 없고, 상급 이론도 자주 추측에 근거한다. 그 추측은 시행 착오를 통한 실험 결과에서 나온 논리적인 연역과 감각으로 혼합되어 있다. 그러나 과학적 측면에서 해부학, 동력학, 운동 기능 학의 일반 원리는 적용된다. 예술 형식은 기법의 통제 없이 발달할 수 없으므로 기법은 수시로 개정하고 움직임의 최신 패션을 필요로 하지만, 기법의 제일 요구 조건은 무엇보다 논리적이어야 한다.”
(2) 필연적인 학습 목표
전문가가 배우고 가르칠 기법은 최근 세계 챔피언들이 사용한 기법이어야 한다. 이것은 경기용 댄스 학습의 필연적인 목표이며 방향이다. 제프리 헌이 지적했듯이 기법은 항상 균형이 잘 잡힌 리드미컬한 공연자의 창조적 재능을 따르며, 챔피언들은 상급 기법을 발전시켜 더 큰 움직임과 리듬으로 그들의 능력을 발휘하기 때문이다.
(3) 영어 학습의 중요성
댄스스포츠의 기술적, 학술적, 공식적 용어는 영어이다. 그러므로 지도자와 학습자는 일생 동안 댄스 학습과 영어 학습을 병행해야 한다. 기법 해석에서 오류를 범하면 안 되고 번역은 우선 완전해야한다. 문법 구조가 명확하고 현재의 일상 언어를 사용하고, 정확하고 논리적이며 현대적이어야 한다. 원문 해석이 어려우면 상세한 주해를 붙여야 한다. 더욱이 동영상 학습도 영어를 잘 해야 효과적이고, 댄스 유학을 가려면 영어는 필수적으로 마스터해야 한다.
(4) 토익 학습법 활용
최근 영어 학습 열기가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토익(TOEIC)의 학습 방법은 최고로 개발되었다.
토익 학습법은 파트별로 문제의 유형을 분석하여 ① 개별 학습 ② 연구 학습 ③ 동영상 학습 ④ 학원 학습을 강화한다. 유형적 분석법을 활용하는 것이다. 댄스는 예, 체능영역이지만, 언어 영역의 이 학습법이 시사하는 바는 매우 크다.
다. 연구 목적
모든 사물은 나름대로 상징적이고 대표적인 명칭을 가지며, 댄스스포츠의 도형은 명칭을 영어로 표시한다. 따라서 이번 연구의 목적은 스탠더드 댄스의 도형을 명칭을 통해 유형적으로 분석하여 학습자의 시간, 정력, 금전 상 투자를 최소화하는 효율적인 학습 방법을 모색하는데 있다.
라. 연구 방법
본래 댄스스포츠의 접근 방법은 전체론 적 접근법을 사용해야 하고, 전체 학습과 부분 학습을 병행해야 한다.
유형학(Typology)은 서로 다른 현상이나 존재간에 공통된 여러 종류의 유형을 설정하여 그 그룹의 본질, 구조를 고찰하는 학문적 방법론이다. 심리학, 문화인류학, 언어학, 생물학 등에서 사용하며, 도서의 십진 분류법도 여기에 해당된다. 따라서 스탠더드 댄스 5 종목(왈츠, 비니스 왈츠 폭스트롯, 퀵스텝, 탱고)의 도형을 유형적으로 분석하려고 한다.
마. 연구의 제한점
예,체능 교육에서 개인 레슨에 의한 학습 방법은 많다. 그렇지만, 학습의 성공 여부는 교사가 학습자에게 어느 정도 도움을 주느냐에 좌우된다.
반면에, 교사의 독특한 학습지도라 해도 경험적, 귀납적, 기술적으로 객관적인 실험 연구가 따라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연구는 실험 사례가 미흡하고, 비교 연구가 부족하며, 엘리트 스포츠 패러다임에서만 접근해야 했다.
연구 자료는 주로 ISTD의『볼룸 기법』(The Ballroom Technique)과 제프리 헌의 『어드반스드 스탠더드 볼룸 도형의 기법』(A Technique of Standard Ballroom Figures), 최근 3년간의 각종 동영상 자료를 사용했다.
바. 용어의 정의
(1) 스탠더드 댄스(Standard Dancing)
1920년부터 영국에서 발달한 경기용 볼룸 댄스는 스탠더드 댄스의 전신이다. 국제 댄스스포츠연맹(IDSF)은 1990년부터 올림픽 스포츠로 발전한 댄스스포츠를 스탠더드 댄스와 라틴 아메리칸 댄스로 대별한다.
(2) 규정 도형(Syllabus Figure)
교사 단체가 교사자격시험을 치르기 위해 교수 요목 (Syllabus)으로 규정한 도형이다. 규정 도형은 다시 지정(Specified) 도형, 추가(Additional) 도형으로 나눈다.
지정 도형은 교사 시험의 이론과 실기에 출제되고, 추가 도형은 실기에서 연결 법으로만 사용할 수 있는 도형이다.
(3) 상급 도형(Advanced Figure)
규정 도형 이외의 도형을 통틀어 상급 도형이라고 하다. 인기도형, 그림 도형, 선(Line) 도형 등 다양하게 부른다. 제프리 헌은 97개의 상급 도형을 공통 도형이 많으므로 댄스별로가 아니라, 다음과 같이 9개 그룹으로 분류했다.
① 형태의 “다채로운” 변화를 지닌 강한 움직임의 도형(18개)
② 피벗과 강한 로테이션의 도형(13개)
③ 다른 턴과 스핀의 도형(4개)
④ 체크와 호버의 도형(9개)
⑤ 스위블과 론데의 도형(7개)
⑥ 슬로 폭스트롯 특별 도형(7개)
⑦ 탱고 특별 도형(10개)
⑧ 퀵스텝 특별 도형(12개)
⑨ 선도형(17개)
(4) 원천 기법(Original Technique)
제프리 헌은 종전의 기법을 자신의 기법과 차별화 하기 위해 원천 기법이라고 불렀다. 대표적인 기법은 알렉스 무어(Alex Moore)의『볼룸 댄스의 개정 기법』(The Revised Technique of Ballroom Dancing), 게이호워드(Guy Howard)의 볼룸 기법』(The Technique of Ballroom Dancing)이다. 그러나 이 기법들은 소위 상급 도형을 다루지 않고 있다.
제프리 헌은 대표적인 기법과 원천 기법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원천 기법에서 대표적인 기법의 세부 명칭을 그대로 사용하고, 미흡했던 기법을 보완했다. 즉, 상급 도형을 도표 형식으로 해설하면서 발 자세, 회전 양, 얼라인먼트, 라이즈 앤드 폴, 발놀림, 시비엠, 스웨이, 리듬이란 표제를 꼭 같이 사용했다. 다만, 머리 무게 항목을 신설하고, 모든 댄스에서 숫자상의 카운트를 병기했다.
2. 댄스 기법의 발전
가. 교사들의 비공식회의
영국 댄싱타임즈(Dancing Times)는 1920년 5월 댄스 교사들을 대상으로 비공식회의를 소집했다. 비공식회의란 당시 교사단체가 아닌 언론매체가 소집했기에 붙여진 명칭이다. 참석한 약 3백 명의 교사는 다음 같이 결의했다.
첫째, 무도장에서 디프(Dip)등 이상한 스텝을 박멸하고,
둘째, 원 스텝, 폭스트롯, 왈츠, 탱고를 정식 사교댄스로 가르치고,
셋째, 각 댄스의 기본스텝을 확정하기 위해 소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했다.
교사들은 그해 10월 소위원회의 보고를 토대로 기본 스텝을 확정했다.
① 왈츠는「앞으로, 앞으로, 붙이고」또는「앞으로, 옆으로, 붙이고」등 소절의 제 3박에 발을 붙인다.
② 폭스트롯은 기본 스텝을 2 박자의 워크, 사세, 스리 스텝 등 3개로 한다.
③ 탱고는 현대 음악을 분당 30 소절로 연주하며, 발의 턴 아웃은 안되며, 프롬나드를 제외한 모든 도형은 소절 끝에 정확히 마친다.(프롬나드는 1소절 반이므로 제외)
나. 볼룸 기법의 표준화
ISTD는 1924년 댄스의 표준화와 교사시험을 치르기 위해 전문가들로 제1 볼룸 위원회를 구성했다. 위원들은 조세핀 브래들리, 이브 타이니게이트-스미스, 뮤리얼 시몬스, 라일 험프리, 빅터 실베스터이었다. 이들은 자연적 움직임에 근거하여 보디 스웨이, 시비엠, 라이즈 앤드 폴 등 움직임 원리를 확립하고 왈츠, 폭스트롯, 원스텝, 탱고 기법을 표준화했다. 당시에 표준화란 획기적이었으나, 도형의 설명 방법은 남녀 동형으로 현재로 보면 지극히 단순했다.
다. 영국댄스평의회의 발전
비공식 회의는 매년 댄스 계의 현안 문제를 해결했다. 또한 교사 단체들은 점차 인기가 상승하는 경기 대회를 총괄하기 위해 1929년 볼룸 댄스 공식 위원회(OBBD- Official Board of Ballroom Dancing)를 조직했다. 위원회는 1985년 영국볼룸댄스평의회(BCBD- The British Council of Ballroom Dancing)로, 1996년 영국댄스평의회(BDC- British Dance Council)로 명칭을 각각 바꾸었다. 그리고 BDC는 세계댄스와 댄스스포츠 평의회(WD&DSC)에 가입했고, 총 11장으로 된 규정집을 3년마다 개정하여 회원 단체에게 배포하고 있다.
라. 도형의 명명법
영국에서 명명법(Nomenclature)은 별로 체계화되지 못 했다. 교사 단체별로 전문가들이 도형의 이름을 지었다. 텔레마크(Telemark)는 조세핀 브래들리(Josephine Bradley)가 스키의 회전 방법에 따온 명칭이며, 더블 리버스 스핀(Double Reverse Spin)은 맥스웰 스튜어트(Maxwell Stuart)가 창안했다. 더블이란 명칭은 그가 도형을 항상 두 번씩 추었기 때문에 붙여졌다. 휘스크(Whisk)는 알렉스 무어가 창안하고 명명했다.
결론적으로 도형들은 학습 난이도보다는 발생 연대 순서로 분류되었다.
레프트 휘스크(Left Whisk)의 경우는 1960년대까지 많은 실험을 거쳤다. 초기에는 오른발로 시작하여 우회전의 휘스크로 추었다. 이 타입은 휘스크와 정확히 반대되는 카운터 프롬나드 포지션을 이루었다. 그러나 남녀 모두 3보를 발가락으로 밟아야 하므로 자세도 불편하고 정확한 포이즈를 유지하기 힘들었다. 결국 대안으로 라이즈 앤드 폴 없이 우회전 대신 좌회전이 제시되었다. 찰스 티볼트(Charles Thiebault)가 아이디어를 내고 필리스 헤일러(Phyllis Haylor)가 ISTD 콩그레스에서 검증을 받았다.
그 이후 필리스 헤일러는 1970년대에 인기 있는 도형의 작명을 추진한 바 있다.
한편, 필리스 헤일러와 제프리 헌은 유사한 도형의 일부 그룹에 패밀리(Family)란 명칭을 사용했다. 텀블 턴 패밀리, 오버스웨이 패밀리 등이다. 그러나 패밀리는 생물분류학상 문(門)- 강(綱)- 목(目)- 과(科)- 속(屬)-- 종(種)의 체계에서 과(科)에 해당된다.
향후 패밀리 개념은 십진 분류법과 함께 실익을 신중히 고려할 사안이라고 본다.
마. 규정 도형의 발전
ISTD의 제 1차(1936년)로 개정된 기법은 도형을 남녀로 나누어 설명했다.
남자 1보 끝에 라이즈, 3보 끝에 로우어
여자 2보 끝에 라이즈, 3보 끝에 로우어
1948년 대폭 개정된 기법은 라이즈 앤드 폴을 몸 중심으로 설명하고, 노 푸트 라이즈(No Foot Rise)와 업(Up)의 개념을 처음 도입했다. 이 개정 기법을 알렉스 무어 명의로『볼룸 댄스의 개정기법』을 발표했는데, 특히 유럽 국가들은 볼룸 댄스를 표준적이란 뜻에서 스탠더드(Standard) 댄스라고 불렀다. ISTD는 알랙스 무어의 사후 1998년 기법을 다시 개정하여 『볼룸 기법』을 발간했다. ISTD의 규정 도형은 다음과 같다.
표 1. 규정 도형
구분 |
왈츠 |
폭스트롯 |
퀵스텝 |
탱고 |
계 |
기본도형 |
16 (14) |
8 (8) |
20 (17) |
13 (15) |
57 (54) |
표준 도형 |
9 (16) |
11 (13) |
6 (9) |
7 (9) |
33 (47) |
지명 변형 |
7 (6) |
6 (8) |
5 (5) |
7 (6) |
25 (25) |
계 |
32 (36) |
25 (29) |
31 (31) |
27 (30) |
115 (126) |
《주》① ( )안은 IDTA의 도형이다.
② 스탠더드 댄스의 전 도형은 비니스 왈츠의 도형 (Forwad Change, Backward Change, Natural Turn, Reverse Turn, Natural Fleckerl, Reverse Fleckerl, Conrtra Check) 7개를 합치면 122(IDTA는 133) 개이다. 이 가운데 공통 명칭의 도형은 19개로서 종목마다 타이밍이 다르고 선행 및 후속도형은 다르지만 기법은 같다.
한편, IDTA 기법에서 2개 댄스 이상의 공통 도형은 13개지만 댄스별로는 실제 45개이다.
표 2. 공통 도형
① Open Natural Turn(W, F, Q)
② Outside Change(W, F, Q)
③ Progressive Chasse to Right(W, Q)
④ Outside Spin(W, F, Q, T)
⑤ Double Reverse Spin(W, F, Q)
⑥ Whisk(W, F, Q, T)
⑦ Back Whisk(W, F, Q, T)
⑧ Closed Impetus(W, F, Q)
⑨ Open Impetus(W, F, Q)
⑩ Closed Telemark(W, F, Q, T)
⑪ Open Telemark(W, F, Q, T)
⑫ Reverse Pivot(W, F, Q, T)
⑬ Fallaway Reverse and Slip Pivot(W, F, Q, T)
《주》 W는 Waltz, F는 Foxtrot, Q은 Quickstep, VW는 Viennese Walt, T는 Tango의 약자이다.
6. 상급 도형의 발전
그룹별로 상급 도형의 사용 빈도는 다음과 같다. (⑥⑦⑧은 제외)
① 형태의 변화를 지닌 강한 움직임의 도형은 스윙 댄스에서 거의 사용한다.
② 피봇과 로테이션의 도형은 4개 댄스에서 거의 사용한다.
③ 턴과 스핀의 도형은 왈츠만 사용하고, 퀵스텝과 탱고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④ 체크와 호버의 도형은 스윙 댄스에서만 거의 사용한다.
⑤ 스위블과 론데의 도형은 4개 댄스에서 모두 사용한다.
⑨ 선 도형은 모든 댄스가 거의 사용한다.
표 3. 상급 도형의 사용 빈도
그룹 |
개 |
사 용 빈 도 | ||||
왈츠 |
폭스트롯 |
퀵스텝 |
탱고 |
계 | ||
① |
18 |
18 |
10 |
15 |
5 |
48 |
② |
13 |
13 |
11 |
11 |
9 |
44 |
③ |
4 |
4 |
2 |
- |
- |
6 |
④ |
9 |
9 |
8 |
9 |
2 |
28 |
⑤ |
7 |
7 |
6 |
6 |
7 |
26 |
⑥ |
7 |
- |
7 |
- |
- |
7 |
⑦ |
10 |
- |
- |
- |
10 |
10 |
⑧ |
12 |
- |
- |
12 |
- |
12 |
⑨ |
17 |
16 |
16 |
14 |
17 |
63 |
계 |
97 |
67 |
60 |
67 |
50 |
244 |
3. 도형의 유형적 분석
가. 실험 학습 사례
1996년부터 인천대학교 평생교육원에서 8학기동안 댄스스포츠를 강의를 했는데, 도형 1개의 학습시간은 평균 1시간이었다. 당시 ISTD의 텐 댄스 도형은 256개였다.
따라서 10개 댄스의 학습 시간은 최소 256시간, 남녀 도형과 기법을 모두 가르쳐야 하는 지도자가 상급 자격을 취득하려면 일반 학습자의 2배인 512 시간이 필요했다.
참고로 당시 국,공립 대학의 강사료는 시간 당 2만원, 현재는 3만원 선이다. 개인 수강료는 수요와 공급의 원칙에 따라 결정되지만, 댄스 학습에서 최우선적인 고려사항이다.
<사례 1>
인천대학교 박사과정의 스포츠 교육학 전공 학생의 경우 512시간 이상의 학습으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댄스 관련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학습 방법은 유형 학습을 원칙으로 했다. 렌 스크리브너의『딱 한가지 아이디어』(Just one Idea)와 루디 버미의『라틴』(Latin)은 좋은 참고서였다. 수강료는 시간당 2만5천이었다.
<사례 2>
1999년 인천대학교 2학년 커플은 라틴 아메리칸 댄스를 120 시간 개인 레슨을 받고 아마추어 선수로서 출전했다. 이 커플은 개인 학습 1시간, 개별 학습 1시간, 커플 학습 1시간, 동영상 학습 1시간의 훈련을 거쳤다. 수강료는 특수관계라 무료였고, 교재는 ISTD 기술 서적과 코르키와 셜리 밸러스(Corky and Sherly Ballas)의 비디오 테이프 등이었다.
<사례 3>
라틴 댄스 경기 선수인 프로페셔널 커플은 2006년 10월부터 2007년 4월 말 현재 160시간의 개인 레슨을 받았다. 이 커플 역시 개별 학습- 커플 학습- 동영상 학습을 주로 한다. 앞으로 개인 레슨 총 200 시간을 마치면 프로페셔널 대회에 참가할 계획이다. 주 교재는 제프리 헌의 저서와 각종 동영상 자료이다. 레슨비는 시간당 3만원이다.
나. 도형 명칭의 분석
도형 명칭은 주된 개념, 상태, 동작 등을 나타내는 명사를 사용하여 표시한다. 명칭은 단일명사 홀로 또는 수식어로 구성되거나 복합 명사 또는 그 수식어와 함께 구성된다. 수식어는 형용사, 전치사 구 등을 사용한다. 복합 명사는 앞의 명사가 수식하고 뒤의 명사가 주된 패턴의 명칭을 나타낸다. 분석 대상은 ISTD와 IDTA 의 규정 도형과 제프리 헌의 상급 도형을 포함했다.
《주》 * 표는 IDTA의 도형이며, 이탤릭체는 상급 도형이다.
(1) 단일 명사의 도형
Whisk, Fishtail, V6, Walk, Oversway, Chase, Chair, Whiplash, Hinge, Fan, Pepperpot, Rocket
(2) 복합 명사(명사 + 명사)의 도형
① Turn: Rock Turn, Twist Turn, Ronde Twist, Tumble Turn
② Spin: Spin Turn, Top Spin
③ Pivot: Pivot Turn, Slip Pivot
④ Chasse: Tipple Chasse, Scatter Chasse, Stutter Chasse
⑤ Lock: Stop Lock, Bounce Lock
⑥ Corte: Hover Corte
⑦ Roll: Chasse Roll
⑥ Hesitation: Cross Hesitation
⑧ Swivel: Cross Swivel
⑨ Feather: Feather Finish, Feather Ending, Hover Feather ⑩ Weave: Weave Ending
⑪ Telemark: Hover Telemark
⑫ Fallaway: Bounce Fallaway
⑬ Cross: Rumba Cross
⑭ Oversway: Throwaway Oversway, Tilt Oversway, Oversway Shape
⑮ Drag: Spanish Drag,
(16) Point: Pendulum Points, Opposition Points
(17) Line: Eros Line, X Line
(18) Other: Big Top, Leg Hook, Woodpecker Action, Scissor Kicks
(3) 형용사
① 수량을 나타내는 형용사:
Double, Three, Four, Quarter, Five, Six
② 방향을 나타내는 형용사:
Right, Left, Natural, Reverse, Side, Forward, Backward, Back, Outside
③ 상태를 나타내는 형용사:
Basic, Progressive, Quick, Closed, Open, Same
④ 능동개념의 현재분사
Turning, Running, Standing, Travelling, Continuing
④ 수동개념의 과거분사
Extended, Overturned, Underturned, Checked, Dropped, Curved, Syncopated, Inverted
(4) 전치사
from, to, of, with, in, outside, contra
(5) 등위 접속사 and
(6) 수식어로 사용된 몸자세
Promenade Position, Fallaway(Position), Counter Promenade Position, Counter Fallaway Position
(7) 도형의 주된 개념, 상태, 동작을 대표하는 명사- (주요한 유형의 단위)
(1) Change (2) Turn (3) Spin (4) Whisk (5) Chasse
(6) Lock (7) Impetus (8) Corte (9) Weave, (10) Pivot
(11) Roll (12) Telemark (13) Hesitation (14) Wing (15) Check
(16) Feather (17) Step (18) Cross (19) Wave (20) Fallaway
(21) Run (22) Finish (23) Swivel (24) Tipsy (25) Zig Zag
(26) Walk (27) Link (28) Promenade (29) Rock (30) Tap
(31) Oversway (32) Chase (33) Fleckerl (34) Hover (35) Drag
(36) Point (37) Hinge (38) Lunge (39) Line (40) Ronde (41) Other
《주》① 주요한 유형의 단위 순서는 ISTD의 종목별 등급별 도형 명칭 순서로 정리했다.
② #는 기타 유형으로 모두 묶을 수 있다.
다. 도형의 유형(예시)
(1) 휘스크(Whisk) 유형
① Whisk(W, T)
② Back Whisk(W)
③ Left Whisk(W)
④ Fallaway Whisk(W)
⑤ Fallaway Whisk from PP(W)
남자가 왈츠의 클로즈드 체인지 3보에 발을 붙이는 대신 교차하면 휘스크, 왼발을 후진하여 피피로 끝내면 백 휘스크, 1보를 오른발로 시작하여 3보를 교차하면 레프트 휘스크, 내추럴 턴 1-3보 후 피피로 벌이면 폴어웨이 휘스크이다. 피피에서 추는 폴어웨이 휘스크 프롬 피피도 있다
(2) 사세(Chasse) 유형
5.1 Progressive Chasse
① Progressive Chasse(W, Q)
② Chasse from PP(W, Q)
③ Progressive Chasse to Right(W, Q)
*④ Chasse to Right after 5th of Chase(T)
5.2 Tipple Chasse
⑤ Tipple Chasse to Right(Q)
⑥ Tipple Chasse to Left(Q)
5.3 Scatter(Continuous) Chasse
⑦ Scatter Chasse to Right(Q)
⑧ Scatter Chasse to Right(Q)
5.4 Stutter Chasse
⑨ Stutter Chasse to Hover Position(W)
5.5 Cross Chasse
⑩ Cross Chasse(Q) ⑪ Running Cross Chasse(Q)
좌측으로 진행하면 프로그레시브 사세, 피피에서 시작하면 프로그레시브 사세 프롬 피피, 우측으로 진행하면 프로그레시브 사세 투 라이트이다. 좌우로의 티플 사세, 사세를 계속하는 컨티뉴어스(일명 스캐터) 사세, 더듬거리는 스타터 사세, 발을 붙여 십자형으로 전진하는 크로스 사세, 이를 달리기로 추는 런닝 크로스 사세가 있다.
(3) 페더(Feather) 유형
① Feather Step(F)
② Feather Finish(F)
③ Feather Ending(F)
④ Hover Feather(F)
⑤ Curved Feather(F)
⑥ Back Feather(F) ⑦ Running Feather(W, F, Q) ⑧ Four Feathers(F)
남자가 오른발로 전진하면 페더 스텝, 후진하여 끝내면 페더 피니시, 피피에서 시작하면 페더 엔딩, 호버 동작으로 추면 호버 페더, 커브 하면 커브드 페더, 후진하면 백 페더이다. 달리기로 추면 런닝 페더, 페더를 4회 추면 퍼 페더이다.
(4) 프롬나드(Promenade) 유형
① Closed Promenade(T)
② Open Promenade(T)
③ Back Open Promenade(T)
④ Fallaway Promenade(T)
피피로 시작하여 발을 붙여 끝내면 클로즈드 프롬나드, 오픈하여 앞으로 끝내면 오픈 프롬나드, 오픈하여 뒤로 끝내면 백 오픈 프롬나드, 폴어웨이 포지션으로 끝내면 폴어웨이 프롬나드이다.
라. 유형별 도형 총괄 표
1. Change
① RF Closed Change(W)
② LF Closed Change(W)
③ Hesitation Change(W)
④ Outside Change(W)
⑤ Change of Direction(F, Q)
⑥ Four Step Change(T)
⑦ Forward Change(VW)
⑧ Backward Change(VW)
2. Turn
2.1 Natural Turn
① Natural Turn(W, F, Q, VW)
② Open Natural Turn(W)
③ Natural Turn with Hesitation(Q)
④ Fallaway Natural Turn(W)
⑤ Quarter Turn to Right(Q)
⑥ Running Right Turn(Q)
⑦ Natural Twist Turn(F, T)
⑧ Natural Promenade Turn(T)
⑨ Natural Rock Turn(T)
⑩ Checked Natural Turn(W, F, Q, T)
2.2. Reverse Turn
① Reverse Turn(W, F, VW)
② Chasse Reverse Turn(Q)
③ Basic Reverse Turn(T)
④ Quick Open Reverse Turn(Q)
⑤ Open Reverse Turn Partner in Line Closed Finish(T)
⑥ Open Reverse Turn Partne Outside with Open Finish(T)
2.3 Twist Turn
⑤ Natural Twist Turn(F, T)
③ Ronde Twist Turn(W, F, Q, T)
2.4 Quarter Turn
⑥ Quarter Turn to Right(Q)
⑦ Quarter Turn to Left(Q)
2.5 Running Turn
⑧ Running Right Turn(Q)
2.6 Promenade Turn
⑨ Natural Promenade Turn(T)
2.7 Reverse Turn
⑩ Reverse Turn(W, F, T, VW)
⑪ Chasse Reverse Turn(Q)
⑫ Basic Reverse Turn(T)
⑬ Quick Open Reverse Turn(Q)
⑭ Open Reverse Turn Partner in Line Closed Finish(T)
⑮ Open Reverse Turn Partner Outside Open Finish(T)
(16) Progressive Side Step Reverse Turn(T)
(17)Checked Reverse Turn
3. Spin
3.1 Natural Spin
① Natural Spin Turn(W, Q)
*② Running Spin Turn(W, Q)
3.2 Outside Spin
③ Outside Spin(W)
*④ Underturned Outside Spin
⑤ Quick Open Natural Turn and Outside Spin
3.3 Reverse Spin
⑥ Double Reverse Spin(W, F, Q)
⑦ Top Spin(F)
3.4 Overspin
⑧ Overspin from Double Reverse Spin(W, Q, F, T)
⑨ Overspin from Double Natural Spin(W, Q, F, T)
3.5 Telespin
⑩ Telespin(W, F, Q, T)
⑪ Telespin to PP(W, F, Q, T)
3.6 Standing Spin
⑫ Standing Spin to Left(W)
⑬ Standing Spin to Right(W)
4. Whisk
① Whisk(W, T)
② Back Whisk(W)
③ Left Whisk(W)
④ Fallaway Whisk(W)
⑤ Fallaway Whisk from PP(W)
5. Chasse
5.1 Progressive Chasse
① Progressive Chasse(Q)
② Chasse from PP
③ Progressive Chasse to Right(W, Q)
*④ Chasse to Right after 5th of Chase(T)
5.2 Tipple Chasse
⑤ Tipple Chasse to Right(Q)
⑥ Tipple Chasse to Left(Q)
5.3 Scatter(Continuous) Chasse
⑦ Scatter Chasse to Right(Q)
⑧ Scatter Chasse to Right(Q)
5.4 Stutter Chasse
⑨ Stutter Chasse to Hover(Q)
5.5 Cross Chasse
⑩ Cross Chasse(Q)
⑪ Running Cross Chasse(Q)
6. Lock
① Back Lock(W, Q)
② Forward Lock(W, Q)
6.1 Turning Lock
③ Turning Lock(W)
④ Turning Lock to Right(W)
6.2 Fish Tail
#⑤ Fish Tail(Q)
⑥ Running Fish Tail from PP(Q)
6.3 Other
#⑦ V6(Q)
⑧ Lock Step in PP(T)
⑨ Stop Lock to Lock Action and 4-6 Syncopated Basic Reverse Turn(T)
⑩ Bounce Locks(Q)
7. Impetus
① Closed Impetus(W, F, Q)
② Open Impetus(W, F)
③ Reverse Impetus(W, F)
④ Reverse Impetus to CPP(W, F)
8. Corte
① Reverse Corte(W)
② Hover Corte(W, Q)
③ Back Corte(T)
9. Weave
① Basic Weave(W, F)
② Weave from PP(W, F)
③ Natural Weave(F)
*④ Quick Natural Weave(F)
⑤ Running Weave(W, Q)
⑥ 1-3 Weave to CPP to Fallaway(W, Q、F)
⑦ Quick Weave(W, F)
⑧ Extended Weave(F)
⑨ Checked Weave to Open Toe Pivot(W, Q)
10. Pivot
① Natural Pivot(Q)
② Reverse Pivot(W, Q)
③ Fallaway Reverse and Slip Pivot(W, F, T)
#④ Tumble Turn(W, Q, T)
#⑤ Big Top(W, F, Q, T)
10.1 Promenade Pivot
⑤ Promenade Pivot from Overturned Reverse Swivel(W, F, Q, T)
⑥ Turning Lock to Right to Promenade Pivot(W, Q)
11. Roll
⑦ Chasse Roll to Left(W, F)
⑧ Chasse Roll to Rightt(W, F, Q)
12. Telemark
① Telemark(W, F)
② Open Telemark(W, F)
③ Hover Telemark(F)
④ Natural Telemark(F)
⑤ Natural Hover Telemark(F)
⑥ Quick Open Telemark from PP(W, F, Q, T)
⑦ Quick Closed Telemark from PP(W, F, Q, T)
⑧ Quick Open Telemark from PP(W, F, T)
⑨ Quick Closed Natural Telemark from PP(W, F, Q, T)
13. Hesitation
① Cross Hesitation(W)
*② Drag Hesitation(W)
14. Wing
① Wing(W)
② Closed Wing(W)
15. Check
① Contra Check(W, T)
② Travelling Contra Check to PP(W, F, Q)
③ Back Check from PP(T)
16. Feather
① Feather Step(F)
② Feather Finish(F)
③ Feather Ending(F)
④ Hover Feather(F)
⑤ Curved Feather(F)
⑥ Back Feather(F)
⑦ Running Feather(W, F, Q)
⑧ Four Feathers(F)
17. Step
① Progressive Side Step(T)
② Four Step(T)
③ Fallaway Four Step(T)
④ Five Step(T)
⑤ Turning Five Step(T)
17.1 Three Step
① Three Step(F)
*② Curved Three Step(F)
③ Curved Three Step from PP(W, F, Q)
18. Cross
① Rumba Cross(Q)
18.1 Hover Cross
② Hover Cross(F)
③ Hover Cross from PP(W, F, Q)
④ Hover Cross with Weave Ending(W, F, Q)
⑤ Hover Cross continuing forward to Natural Weave(W, F, Q)
⑥ Hover Cross Continuing Forwar to Same Foot Lunge(W, F, Q)
⑦ Travelling Hover Cross Action to Feather Step(F)
⑧ Hover Cross Action to Extended Weave Ending(F)
18.2 Side Cross
⑨ Side Cross(W, Q)
⑩ Side Cross from PP(W, Q, T)
⑪ Syncopated Side Cross(W, Q)
⑫ Double Side Cross(W, Q)
⑬ Double Side Cross from PP(W, Q)
19. Wave
① Reverse Wave(F)
*② Extended Reverse Wave(F)
20. Fallaway
① Fallaway Reverse(W, F, Q, T)
② Bounce Fallaway with Weave Ending(F)
③ Three Fallaways(F)
④ Three Fallaways Turning Left- Right- Left(F)
⑤ Rudolph Fallaway from Natural Pivot(W, F, Q, T)
21. Run
① Four Quick Run(Q)
② Six Quick Run(Q)
③ Left Side Run to from PP(Q)
22. Finish
① Running Finish(Q)
② Zigzag Back Lock and Running Finish(Q)
③ Natural Turn and Running Finish(Q)
23. Swivel
① Cross Swivel(Q)
② Outside Swivel(F, T)
③ Left Side Forward Swivel(W, F, Q, ,T)
④ Right Side Forward Swivel(W, F, Q, T)
⑤ Inverted Swivel to Develop(W, F, Q, ,T)
24. Tipsy
① Tipsy to Right(Q)
② Tipsy to Left(Q)
③ Tipsy to Side Check, Back Check and Oversway(Q)
25. Zig Zag
① Natural Zigzag From PP(F)
26. Walk
① Right Foot Walk to Right(T)
② Left side Walks(T)
27. Link
① Progressive Link(T)
② Promenade Link(T)
28. Promenade
① Closed Promenade(T)
② Open Promenade(T)
③ Back Open Promenade(T)
④ Fallaway Promenade(T)
29. Rock
① Left Foot Rock(T)
② Right Foot Rock(T)
③ Rock Turn(T)
30. Tap
① Brush Tap(T)
31. Oversway
① Oversway(T, W, F, Q)
② Tilt Oversway(T, W, F, Q)
③ Oversway from PP(T, W, F, Q)
④ Throwawaay Oversway (,W F Q, T)
⑤ Inverted Throwawaay Oversway(T, W, F, Q)
32. Chase
① Chase(T)
② Double Chase from Natural Promenade Turn(T)
33. Fleckerl
① Natural Fleckerl(VW)
② Reverse Fleckerl(VW)
34. Hover
① Hover to PP from Oversway Shape(W, F, Q)
② Hover to PP from Feather Finish(F)
35. Drag
① Spanish Drag(T)
36. Point
① Pendulum Points(Q)
② Opposition Point to Left from PP(W, F, T)
③ Opposition Point toRight( from PP(W, F, T)
37. Hinge
① Hinge(W, F, Q)
② Right Hinge(W, F, Q)
38. Lunge
① Right Lunge(W, F, Q, T)
② Same Foot Lung(W, F, Q, T)
③ Left Lunge(W, F, Q, T)
39. Line
① Eros Line(W, F, Q, T) ② X Line(T)
40. Ronde
① Drop Ronde from a Turning Lock(W, Q, T)
④ Leg Hook(W, F, T)
41. Other
#① Fan Action from PP(T)
#② Quater Beats(T)
#③ Pepperpot(Q)
#④ Rocket(Q)
#⑤ Woodpecker Action(Q)
#⑥ Scissor Kicks(Q)
#⑦ Chair(W, F, Q, T)
#⑧ Whiplash(W, F, Q, T)
#⑨ Develop to Leg Hook from Oversway Shape(W, F, Q, T)
Ⅳ. 제언
프로페셔널 댄서는 일생동안 학습과 교습을 반복한다. 세계 챔피언들이 사용한 기법을 계속 연구해야 하기 때문이다. 무릇 학습과정에서 지도자는 교육적 의미로 올바른 이론과 실기를 가르쳐야 하고, 기술서적, 참고서, 동영상 자료 등 교재를 학습자와 공유해야한다.
특히 개인 레슨에서 지도자가 우선 고려할 사항은 학습자가 최소의 노력으로 최대의 효과를 낼 수 있는 방안이다. 반면에, 학습자는 챔피언이란 궁극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시간, 정력, 금전 상 투자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그 효율적인 방안의 하나로 개인 레슨 1 시간- 개별 학습(이론) 1시간- 동영상 학습 1시간 - 커플 학습(실기) 1시간의 유형적 학습법을 추천하고 싶다. 결론적으로 219 개 도형을 41개 종류로 나눈 유형별 학습법을 하나의 시안으로 제시하는 것이다.
참고 문헌
Alex Moore, Ballroom Dancing, 10th Edition, A & Black PublisherLimited, London, 2002
Guy Howard, Technique of Ballroom Dancing, IDTA, Chapman Graphics Corporation Ltd, 1995
Ruddy Vermey, Latin, Thinking, Sensing and Doing in Latin American Dancing, Kastel Verlag, 1994
Wally Olney, Dance Addiction, D&J Enterprises Limited, 1997
Bryan Allen, JUST onE IDEA - BALLOOM DANCING analysed by LEN SCRIVENER,
Sawtells of Sherbornee Limited, Dorset,1983.
A. H. Franks, SOCiIAL DANCE a short history, Routiedge and Kegan Limited, London, 1963
Victor Silvester, Modern Ballroom Dancing, Stanley Paul, London, 1993
유우봉 편저, 댄스스포츠의 이론과 실제, 도서출판, 무도원, 서울, 2000
윤명희 편저, 체육과 교육론, 태근 문화사, 1997
최의창 편저, 체육교육과정탐구, 태근 문화사, 1996
Martin & Lumsden 저, 김귀봉, 손천택 역, 코칭론, 보경문화사, 서울, 1993
Richard H. Cox 著, 表內淑, 洪善玉 共譯, 스포츠 心理學, 正文出版社, 부산, 1994
Daryl Siedentop 저, 강신복, 손천택 공역, 增補 體育敎授理論, 보경 문화사, 서울, 1998
白琪洙, 藝術學序說, 東民文化社, 서울 1972
樋口 聰 저, 金昌龍,李光子 공역, 스포츠 미학, 21세기 교육사, 1999
유우봉,「댄스 스포츠 지도자의 자격검정방안」, 한국댄스스포츠연맹 주최 댄스스포츠 발전 세미나 주제 논문, 1999
박은지, 유우봉, 스탠더드 댄스의 기술적 이해- 박은지 박사학위 취득기념발표회 주제논문, 무도원, 2005
'dance&joy > 댄스 스포츠관련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텐댄스클럽 강의록/탱고 루틴, Section-4 에 포함되어있는 Variation (0) | 2011.08.30 |
---|---|
텐댄스 클럽에서 왈츠강의록 (0) | 2011.08.28 |
텐댄스에서 스타디중에/정신일 샌님 강의 (0) | 2011.07.28 |
상체자세를 비롯한 하체강화 몸만들기(느낌댄방에 올린 자료/쏘니> (0) | 2011.07.19 |
몸만들기 과정의 워킹동작(느낌댄방에 올린 자료/쏘니) (0) | 2011.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