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일 칼럼/폭스

Continuous Hover Cross

쏘니리 2015. 4. 22. 01:30

제가 과거에 너무나 어렵게 배웠던 Continuous Hover Cross 여기에 나와 있어서

너무 반가워서 여러분들과 함께 공부 하고싶어서요,,,

그리고 Tumble Turn 도 보여 주고 있습니다. 월츠에서 흔히 하는 Tumble Turn 하고는

진행해 나가는 방향이 조금 다르지요 잘 관찰하시면 보입니다.,,,

 

( Figure Name & Timing )

 

 

 

01: Feather Step (SQQ, 1234)

02: Bounce Fallaway (Reverse Turn) (S&QQ, 12&34)

     (* QQQQ 으로 하시는 분들도 많습니다. 그러나 Bouncing 의 Feeling 을

         느끼게 해 줄려면 역시 ``S&`` 으로 하시는 것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 참고로 월츠에서는 이 Boucing Movement 는 거의표현하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는 얘기가 있습니다. Figure Name 이 ``Bounce Fallaway``

         되어있더라도,,, )

03: Weave Ending ( end to Feather Finish) (QQQQ, 1234)

     (* 제프리 헌씨는 그냥 Feather Finish 로 해설하고 계시네요.

        (QQQQ, 1234) 에서 (QQQ,234) 가 Feather Finish 입니다.

        Weave 의 마지막 Steps 은 Feather Finish 입니다. )

04: Hover to PP (SQQ, 1234)

05: Continuous Hover Cross (S Q X 6, 12345678)

     {* Hover Cross 란:

         (a) 본래는, ( S, Q x 6, 12345678 ) 입니다. 이것을 다양하게 변화시켜서

             활용하고들 있지요. 세번째 Quick 이 바로 Hover Cross 동작입니다.

         (b) 위 동영상과 같이 여성을 Out Side 로 휘이익 돌려서 뒤로 빠져나갈 때를

              어떻게 구분해서 불러야 좋을지에 대해서 생각해 봐야겠습니다.

             제프리 헌씨는 Continunous Hover Cross 라고 해설해 주고 있습니다만,

             S, Q x 8 까지를,,,

        (c) 전 달리 생각해 봅니다.

             S, Q x 6 까지를 Hover Cross 로 보고, 일곱번째 Quick 부터를 QQQQ 을

             Weave Ending (=Feather Finish)로 간주하는 것이 더 타당할 것 같습니다. }

06: Tumble Turn (QQQ&Q, 123&4)

     (* 제프리헌씨는 Q&Q 으로 ``Feather Finish to Tumble Turn`` 라고 해설합니다.만

         Weave Ending 이 Tumble Turn 으로 바뀐 것으로 이해하시면 쉽습니다.

         즉 ``QQQQ`` 이 ``QQQ&Q, 123&4`` 으로 변화 한 것으로,,, )

07: Heel Turn (QQ, 12)

08: 2~3 of Three Step (QQ, 34)

09: 1~3 of Natural Turn (SQQ, 1234)

10: Impetus Turn (SQQ, 1234)

11: Feather Finish (SQQ, 1234)

12: Open Telemark (SQQ, 1234)

~~~~~~~~~~~~~~~~~~~~~~~~~~~~~~~~~~~~~~~~~~~~~~~~~~~~~~~~~~~~~~~

 

 

( THINK TWICE )

1, Continuous Hover Cross :

   남자: 어떻게 여성을 휘이익 돌려서 뒤로 진행해 나가고 있는지

          유심히 관찰하시길, 동영상에서 평면적으로는 쉽게 보니다만,,,

          공간 활용상 코너로 들어 갔다가 backing DC 로 빠져 나오는 것이 좋습니다.

   여성: Hover Cross (오른발이 왼발 뒤에 Cross : RF crosses behind LF) 동작 이후에

          그 Cross 동작이 한번 더 반복 되고 있는 것을 관찰하셔야 합니다.

2, Hover Cross 다음에 어떤 Figure 들이 연결 될 수 있을까요?

   {* 본래의 Hover Cross (S, Qx6, 12345678) 의 경우 :

        Closed Telemark (SQQ)- Feather Finish or Curved Feather (SQQ) }

   {* Hover Cross ending PP (S, QQSQQ, 12345678 ) 로 마무리해 놓고:

       (a) Weave from PP(S, Qx6)

       (b) Natural Weave (S, Q x 6, 12345678) 와 연결 }

 

아래 동영상 참조 요망

[Man] [Lady]

S,,,,RF fwd with CBM                    LF back with CBM

Q,,,,LF to side                              RF closese to LF, Heel Turn

Q,,,,RF back with side leading         LF fwd with side leading

Q,,,,LF back in CBMP                    RF fwd in CBMP OP

Q,,,,RF back with CBM                   LF fwd with CBM

Q,,,,LF to side & slightly fwd          RF to side & slightly back

Q,,,,RF fwd in CBMP OP                LF back in CBMP

   ( * 3보에서 Side Leading 이 걸리는 동작으로 하셔야 된다는 Key Point 를 놓치시지

       말아야 겠지요, 그래야 그 다음 4보에서 CBMP 가 대각선 스트레칭으로

       확실하게 걸립니다.,,,,,,,,,,,,,,,,,,,,,,,,,)

 

 

 

[ Hover to PP, into Natural Weave ]

01: Reverse Turn (SQQ, SQQ, 1234 5678)

    (* 4~6 보는 Feather Finish 와 동일합니다 )

02: Hover to PP (SQQ, 1234)

03: Natural Weave from PP (S Q x 6, 56781234)

 

[ Think Twice ]

PP 에서 Natural Weave 로 들어가는 방법입니다.

facing position 에서 들어 갈 수도 있지요.

01: Passing Natural Turn (SQQ) -

02: Outside Spin (SQ&Q) -

03: Natural Weave (SQQQQQQ)

 

'정신일 칼럼 > 폭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샘반 공동루틴   (0) 2014.03.17
Continous Hover Cross  (0) 2014.02.23
J&J Fox basic  (0) 2014.02.23
Mirko&Allesssia Basic routine  (0) 2014.02.18
Continuous Hover Cross into Tumble Turn ~~  (0) 2014.01.31